요즘 개발 트렌드가, 백엔드 뿐만이 아니라 프론트엔드도 같이 개발할 수 있는 풀스택 개발자를 원하는 것 같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종종 개발을 해야했었던 경험이 있었는데 이 경험이 리액트를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한다.
리액트의 가장 큰 특징은 아마도 컴포넌트와 VirtualDOM이라는 놈들인 것 같다.
DOM이라고 하니까 옛날에 브라우저 환경에서 HTML을 트리 계층 구조로 구성해 관리하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그걸 이용하는 거 같다.
이러한 DOM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렌더링 되어 실제 우리가 보는 화면상에서 표시되는데 이런 DOM 구조를 virtual, 그러니까 가상의 DOM을 이용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같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비교 | DOM | VirtualDOM |
업데이트 속도 | 느림 | 빠름 (변경되어지는 부분만 다시 렌더링) |
사용 방식 | 직접 개발자가 조작해야함. | React를 통해 조작하므로 보다 용이성이 있음. |
이 정도일 것 같다.
컴포넌트는 html에서 사용되어지는
<div id='hello'>Hello, World!</div>
같은 html 태그 블럭을 리액트에서 관리 및 재활용을 위한 거라고 생각되는데 더 살펴봐야겠다.
또한 그전에는 CRA라고 하는 리엑트 스타트가 있는거 같은데 현재는 지원 중단으로 잘 쓰이지 않는 것 같다.
그 와중에 vite라는 프로젝트 빌드툴이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고 다시 포스팅을 해볼까 한다.
짬짬히 백엔드와 cs적인 부분도 계속 공부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