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 Boot6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인텔리제이에서 써보자. 최근 입사한 회사에서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공공기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을 알았다.사실 그전부터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많이 들어보긴 했지만, 기본적으로 정부관련 사업보다는 인하우스나 솔루션 개발쪽에만 지냈기 때문이었던 것일까 전혀 접할 기회가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한가지 알 수 있게 된 사실은 전자정부프레임워크(이하 eGov)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개발 환경, 운영 환경 그리고 실행 환경을 제공해 준다는 점. 일단은 오픈소스 기술을 사용해 특정 기업 또는 사업자에 종속되지 않게 만든 것 같다. 여기까지 들어보면 정말 좋은 패키지라고 생각될 수 있는데 문제는....1. eGov는 '이클립스' 를 쓴다는 것.이클립스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너무나도 낡은 UI와 성능적.. 2025. 3. 21.
[Spring] REST API 웹 개발을 공부하거나 채용 사이트에서 웹 개발에 관한 항목에 항상 뜨는 REST, 사실 나도 대학교 졸업 작품을 만들면서 MVC 구조도 모르고, REST API 조차 모르는 상황에서 머리부터 부딪혀 가며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렇기에 Controller에 모든 로직이 쓰여져 있고, RESTful하지도 않은 로직으로 겨우 구동만 되는 수준의 프로그램을 만들었었다 ㅡㅡ;; 그렇기에 더욱 공부해야만 하지 않을까? 그래서 이번에는 REST API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한다.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다른 블로그 글의 경우 자원의 대표와 상태 전달이라고 해석하고 있었다. 또한 REST라는 개념은 2000년의 로이 필딩(Roy Fielding)이라는 사람으로부터.. 2020. 9. 22.
[Spring] @ResponseBody와 @RequestBody 스프링에서 컨트롤러를 만들고 관리 하다 보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받는 경우 이러한 어노테이션을 발견 할 수 있다. @RequestBody @ResponseBody 나도 처음 스프링을 공부하고 뷰에 데이터를 전달 받거나, 전달 할 때 아무 이유도 없이 그냥 그렇게 쓰라니까 썼던 것 같다. 이번 포스팅은 이 두가지에 대해 좀 정리하는 느낌으로 해야겠다. Http 구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을 위해 보통은 Http 통신을 이용하는 것 같다. 자세한 구조와 동작 방식은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간단히 Http에 대해서 위키백과에서의 정의를 인용하자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 2020. 9. 2.
[Spring] MVC 패턴 - Model1, Model2 스프링은 MVC 패턴을 따릅니다.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며, 말 그대로 Controller, Model, View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각 구조는 서로 상호작용을 합니다. 각 구조의 역할을 보자면 Model : 데이터를 담고 있는 객체, 주로 DB와 연관관계에 있거나, 뷰의 파라미터로 쓰인다. View : 표시하는 화면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쪽이 처리한다. Controller : 데이터 흐름과 제어를 처리하고,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MVC 구조의 최대의 장점은 뷰의 영역과 비즈니스 로직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의 수정이 많은 점을 따져보면, 분리되어 있는 편의 장점이 크다고 한다. 솔직히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험이 없어서 .. 2020.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