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네트워크] TCP/IP

by 뜨는 해 2020. 9. 17.

 

TCP/IP의 설명


 

TCP/IP는 위키 백과 설명에 따르자면,

 


TCP/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 (인터넷 프로토콜)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unreliable datagram service)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HTTP, FTP, SMTP 등 TCP를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이 IP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묶어서 TCP/IP로 부르기도 한다. 

 

 

간단히 말해, 패킷 통신을 위한 인터넷 규약이다.

이러한 패킷 통신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IP(Internet Protocol)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처음 미국에서 군사 목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전쟁 중, 회선이 끊기는 경우가 있더라도 다른 곳으로 우회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IP는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데에 쓰인다. 이러한 IP 프로토콜은 주소가 있으며(예를 들면 192.168.16.12) 데이터 전송 역할만 할 뿐, 데이터의 조합이나 손실에 대해 신경쓰지 않는다.

 

TCP는 이렇게 나누어 보내진 패킷을 재조립 해 원래 데이터로 복원 시키거나 반대로 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IP 기반에 TCP를 사용해서 TCP/IP라고 한다고 한다.

 

 

 

 

 

출처 : https://medium.com/@chrisjune_13837/

 

이러한 TCP/IP에는 총 4계층이 존재한다,

 


  1.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HTTP, FTP, DNS, SMTP 등등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들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통신 노드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3.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통신 노드와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것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
  4. 네트워크 접근 계층(Network Access Layer) : 물리적인 주소를 이용한다. LAN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TCP/IP 4계층은 OSI 7 계층을 더욱 단순화 시켜 만든거라고 한다.

 

 

 

TCP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TCP 3-Way Handshake는 먼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전, 상대방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전에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총 3번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3-Way Handshake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과정을 설명해보자면 이와 같다.

 

  1. 먼저 A가 B에게 전송 요청을 한다(SYN)
  2. B에서 연결 요청을 수락하면 A에게도 B가 연결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달라고 요청한다.(SYN + ACK)
  3. A는 B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이제부터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4-Way Handshake는 3-Way Handshake로부터 연결되었던 연결망을 닫는 과정이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A가 연결 요청을 끊겠다고 B에게 전달한다. (FIN)
  2. B는 확인 받았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자신의 통신이 끝날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3. 이후 B에서 통신이 완결되면 연결을 끊겠다고 보낸다. (FIN)
  4. 클라이언트가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연결을 끊는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http의 구성 요소  (0) 2020.10.18
[네트워크] OSI 7 계층  (0) 2020.09.18
[네트워크] TCP와 UDP  (0) 2020.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