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 Boot6

[Spring]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도대체 뭘까?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배우면서 중요한 것 중에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의존성 주입이 아닐까 싶다. 개인적으로 몰랐고, 정말 놀라운 사실은 의존성 주입이 예전에는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행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제어의 역행이 뭔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객체들을 어떠한 외부의 존재로부터 관리받는, 어떻게 보면 말 그대로 객체의 관리를 외부에다가 맡기는 역행(Inversion)의 구조를 하고 있다는 것. 정확한 설명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어떠한 객체를 외부로부터 관리 받는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1 2 3 4 5 6 7 8 public class Fox { private final Fur fur; pub.. 2020. 9. 2.
[Spring] Spring Framework, 왜 쓸까? Spring Framework? 이게 뭐지... 처음으로 웹 관련 직장을 갖자고 결심한 순간, 회사 자격 요건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내가 알기론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로 스프링을 쓰도록 강제하도록 한다고 들은 적이 있다. Django나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서버는 만들기도 쉽다는데 왜 스프링을 쓸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옛날부터 지금까지 쓰여와서 쌓은 레퍼런스들이 많다. 스프링은 크다, 그리고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많다. 기업에서도 새롭게 다른 프레임워크를 쓰기에는 부담이 클 것이다. 이렇다고 생각한다. 일단은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위키피디아를 간단히 발췌 해보면, 스프링 프레임워크(영어: 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 2020.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