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네트워크] OSI 7 계층 OSI 7 계층은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렇게 계층을 나누면 캡슐화에 유리해지고, 개발에 따라 신경 쓸 것만 신경 쓰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계층의 이름과 역할을 알아보자면,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물리 계층은 하드웨어적, 물리적인 세부 사항들을 정의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신뢰성 있는 연결을 보장한다. 이러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이더넷이다.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여.. 2020. 9. 18. [네트워크] TCP/IP TCP/IP의 설명 TCP/IP는 위키 백과 설명에 따르자면, TCP/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 (인터넷 프로토콜)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증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unreliable datagram service)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고 보낸 순서대로 받게 해준다. HTTP, FTP, SMTP 등 TCP를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들이 IP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묶어서 TCP/IP로 부르기도 한다. 간단히 말해, 패킷 통신을 위한 인터넷 규약이다. 이러한 패킷 통신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인 IP(Inter.. 2020. 9. 17. [OS] 프로세스와 쓰레드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한다. 단순히 기억을 더듬어보면 프로세스는 쓰레드보다 큰 것이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나도 그랬었다 ㅎㅎ; 이제부터 두 경우를 알아보고 차이점은 또 무엇인지 알아보자. 프로세스 - Process 정의를 먼저 위키백과에서 살펴보자. 프로세스(process)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말한다. 종종 스케줄링의 대상이 되는 작업(task)이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여러 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을 멀티프로세싱이라고 하며 같은 시간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띄우는 시분할 방식을 멀티태스킹이라고 한다. 정리하자면,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메모리에서 독립적으로 올라와 사용되며, 운영체제로부터 리.. 2020. 9. 17. [프로그래밍] JVM 의 구조 자바를 이용하고 쓰고 있는데도, 아직 자바 가상머신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가 없었다. 이번에 한 번 알아보려고 한다. JVM - Java Virtual Machine 자바 가상 머신의 위키백과 정의를 먼저 보자. 자바 가상 머신(영어: Java Virtual Machine, JVM)은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주체이다. 자바 바이트코드는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모든 자바 가상 머신은 자바 가상 머신 규격에 정의된 대로 자바 바이트코드를 실행한다. 따라서 표준 자바 API까지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구현한 상태에서는 이론적으로 모든 자바 프로그램은 CPU나 운영 체제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동작할 것을 보장한다. 자바 가상 머신은 CPU와 운영체제에 상관 없이 같게 동작하도록 하는 주체라고 한다. 자.. 2020. 9. 17.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