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일상] 2020년 하반기 라인 코딩테스트 합격! 드디어 나에게도 코딩테스트 합격을 하는 날이 오는구나... 라인 코딩테스트 바로 전날에 카카오 공채 코딩테스트가 있어서 진이 빠진채로 시험을 보긴 했었다. 문제 난이도와 비교하자면, 카카오는 난이도 범위가 넓고, 또 어느정도 고급 기술을 익혀야 가능한 것들이 많았다.. 특히 카카오는 투포인터 알고리즘이 필수적으로 하나씩은 나오는 것 같았다. 라인은 카카오보다 쉽냐고 한다면, 쉬운 편에 속하기는 하는데, 솔직히 별 차이는 없는듯... 다만 놀라웠던 것은 시험 도중에 이미 알려진 테스트 케이스 이외에는 내가 평가 점수를 볼 수 없다는 점이다. 제출만 하면, 제출 되었다뿐, 아무것도 없다는 점이 흥미롭기도 하고, 내가 잘 봤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가려워서 혼났다. 문제는 내가 기억하기론 총 6문제 였는데, 내가.. 2020. 9. 16.
[네트워크] TCP와 UDP 네트워크 통신을 알아보게 된다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TCP와 UDP다. 보통 TCP하면 UDP보다 빠르다, UDP는 안정성이 부족하다 정도... 한 번 자세히 알아보자. TCP란? TCP는 위키백과에서 이렇게 정의한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문화어: 전송조종규약)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P)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와 함께 TCP/IP라는 명칭으로도 널리 불린다. TCP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는 전송 계층에 위치한다. 네트워크의 정보 전달을 통제하는 프로토콜이자 인터넷을 이루는 핵심 프로토콜의 하.. 2020. 9. 8.
[Spring] @ResponseBody와 @RequestBody 스프링에서 컨트롤러를 만들고 관리 하다 보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받는 경우 이러한 어노테이션을 발견 할 수 있다. @RequestBody @ResponseBody 나도 처음 스프링을 공부하고 뷰에 데이터를 전달 받거나, 전달 할 때 아무 이유도 없이 그냥 그렇게 쓰라니까 썼던 것 같다. 이번 포스팅은 이 두가지에 대해 좀 정리하는 느낌으로 해야겠다. Http 구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통신을 위해 보통은 Http 통신을 이용하는 것 같다. 자세한 구조와 동작 방식은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간단히 Http에 대해서 위키백과에서의 정의를 인용하자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 2020. 9. 2.
[Spring] MVC 패턴 - Model1, Model2 스프링은 MVC 패턴을 따릅니다. 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며, 말 그대로 Controller, Model, View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각 구조는 서로 상호작용을 합니다. 각 구조의 역할을 보자면 Model : 데이터를 담고 있는 객체, 주로 DB와 연관관계에 있거나, 뷰의 파라미터로 쓰인다. View : 표시하는 화면을 담당한다. 클라이언트쪽이 처리한다. Controller : 데이터 흐름과 제어를 처리하고,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처리를 담당한다. MVC 구조의 최대의 장점은 뷰의 영역과 비즈니스 로직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의 수정이 많은 점을 따져보면, 분리되어 있는 편의 장점이 크다고 한다. 솔직히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험이 없어서 .. 2020. 9. 2.